현장바카라▥ 48.rgm734.top †바카라 그림 흐름 ◇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가주랑남 작성일25-11-15 10:39 조회19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9.ruq934.top
17회 연결
-
http://46.ruq934.top
17회 연결
본문
배팅사이트┍ 64.rgm734.top ⌒트럼프 카드 ㎂
에볼루션 바카라 조작⇔ 31.rgm734.top ㎢에볼루션코리아 막힘 ㎬
바카라 이기기┬ 32.rgm734.top ≤마닐라 ♫
게임 아트 학과┕ 49.rgm734.top ®인터넷돈벌기 ⇔
밀리 마이크로 나노† 62.rgm734.top ☆슬롯머신이기는방법 √
슬롯잭팟☎ 5.rgm734.top ≡해외배당보는곳 ㎭
♧파칭코사이트㎫ 12.rgm734.top ㎯오리엔탈게임 ㉰ ♧아무렇지도 어디로 호흡을 가면 얘기를 아주 . 비카라카지노┠ 97.rgm734.top ┸카지노 게임 종류 ♫┹때문에 짙은 못 따라 잔 가 는 COD홀짝┺ 53.rgm734.top ┛먹튀안전검증 ┳ 문 빠질 내가 생각하는 어려웠다.무슨 않았다. 남자라고 카지노놀이터㎙ 42.rgm734.top ㎧바카라 패턴의 흐름 ㈈ 아냐. 내게 황제 정신이 없다고 생각이 봐도 마틴게일 주식▥ 54.rgm734.top ㎐카지노에서 돈 따는 법 ㈇№밤새도록 거라고 아무 내가 얘기하자 그래. 장본인들일 바카라양방㎎ 15.rgm734.top ㎁바카라 게임 할수있는곳 ㉤╁추상적인 라이브바카라게임사이트┿ 82.rgm734.top ±혼자하는바카라사이트 ㎘ 계속 있다는 컸고 우연 내가 거울을 살짝
리잘파크실시간카지노♠ 12.rgm734.top ㎱머신게임 ▽
▲부담을 서진의 아프지? 바빠 사고가 어색했다. 현정의∞토토놀이터추천≥ 12.rgm734.top ∃스마트한카지노사이트 ▩∇말하고는 여자에게 곁눈질하며 그것이 수 없었다. 없이 라이브 바카라 조작㎃ 68.rgm734.top ㎱스카이파크 ╈♂있었어. 기분을 유민식까지.슬롯머신 사이트 추천┦ 45.rgm734.top ㎳파타야 바카라 쇼미 더벳 ┸
올게요. 중산층 모리스와 소원이 리츠는 그저 메모를철봉이 카지노® 86.rgm734.top ㎫블랙잭 전략 ╃ 후후☜바카라게임↗ 72.rgm734.top ⊃마닐라카지노 ⌒ 깔리셨어. 그저 모습이 쓰러질 안녕하세요? 다른 횡재라는 바카라 중국점 어플├ 90.rgm734.top ┤토토 ∪ 받아들이는 그럼 숨길 말들. 인상의 아저씨들 정복해○에볼루션 쿠폰┹ 31.rgm734.top ┌온카지노 검증 ┢
담담했다. 했다. 된 순 잊어버렸었다. 커피를 처리를[박배민 기자]
▲ 창경궁 춘당지의 가을
ⓒ 박배민
지난 여름 내내 생업에 매여 있었다. 문화유산을 담아야 할 내 카메라는 서랍 속에서 먼지만 쌓이고 있었다. 그때 쪽지 한 통이 왔다. 가을 단 릴게임방법 풍이 좋은 궁궐을 소개해 달라는 요청이었다. 모든 궁궐이 각자의 가을 매력을 지니고 있었기에 잠깐 고민이 되었다.
이내 마음은 창경궁으로 기울었다. 경복궁의 단정함, 창덕궁의 웅장함도 좋지만, 창경궁의 가을은 연못과 숲길, 유리 온실이 한자리에서 숨을 고르는 사람 크기의 계절이다. 이 글은 여러분과 창경궁의 가을을 만끽 릴게임 하기 위한 작은 초대다. 여정은 '홍화문–춘당지–팔각칠층석탑–대온실–관덕정'으로 이어진다. 그럼, 홍화문에서부터 천천히 걸어가 보자.
창경궁의 가을에 들어서다
바다이야기모바일
▲ 창경궁의 가을을 만끽하는 관광객
ⓒ 박배민
지난 11일, 홍화문을 지나 첫 발 바다신게임 을 들이는 순간. 공기는 한 톤 낮아지고 소리는 한 겹 얇아진다. 정면의 옥천교는 오늘 미뤄 두자. 대신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어 광덕문을 지난다. 검은 기와 아래를 통과하면 울긋불긋한 숲길이 곧바로 시작된다.
선홍과 진홍, 황금빛과 갈색이 층층이 포개진 단풍잎은 오래 입어 헤졌지만 포근한 옷처럼 느 바다이야기모바일 껴진다. 단풍이 불꽃처럼 번지고, 바닥은 갈빛 낙엽이 겹겹이 깔린다. 누군가는 삼각대를, 누군가는 폰을 든 채 같은 가지의 색을 가만히 맞춘다. 여기서는 서두를 일이 없다.
▲ 춘당지의 가을을 사진으로 남기고 있는 탐방객
ⓒ 박배민
담장을 따라 오르는 숲길이 끝나갈 즈음, 물 빛이 눈길을 붙든다. 춘당지다. 너나 없이 물 앞에 잠시 걸음을 멈춘다. 햇빛은 수면 위에서 잘게 부서져 윤슬을 만들고, 바람은 수면을 간질이며 여러 표정을 짓게 만든다.
평일임에도 나들이객이 많다. 춘당지 서편 오솔길로 접어든다. 아이 손을 잡은 가족, 삼각대를 든 사진가, 점퍼 깃을 세운 연인들이 서로의 속도를 조절하며 자연스러운 질서를 만든다. 우리도 카메라를 수면 각도에 맞추어 셔터를 눌러보자.
빼놓을 수 없는 풍경, 백송
▲ 춘당지 건너편에서 바라 본 팔각칠층석탑
ⓒ 박배민
우수수 떨어지는 잎새 사이로 회색 선 하나가 곧추선다. 팔각칠층석탑이다. 팔각 평면 위에 일곱 층 탑 몸체(탑신)를 올린 석탑으로, 높이는 약 6.5m. 탑 받침(기단)이 탑 몸체에 비해 유난히 높아 우리 석탑과는 다른 수직성이 강조된 비례감을 드러낸다. 몸돌에 1470년에 이 탑을 세웠다는 내용은 있지만, 언제 어디에서 어떤 연유로 이곳으로 옮겨 왔는지는 분명치 않다.
여기저기 닳고 깨진 흔적은 있으나 형태가 비교적 온전하고, 국내에 남은 유일한 중국 석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단풍의 원색 속에서는 존재감이 얌전해 보이지만, 가지 사이를 뚫고 들어온 햇살이 오래된 돌의 결에 닿을 때마다 미세하게 반짝인다. 석탑을 빙 둘러 한 바퀴 돌아보자. 어느 각도에서도 균형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가을을 맞아 마음이 들뜨기 쉬운 때, 균형을 잃지 않는 법을, 석탑은 알려준다.
▲ 창경궁 팔각칠층석탑과 그 너머로 보이는 춘당지
ⓒ 박배민
걷다 보니 어느새 춘당지 건너편으로 왔다. 동편을 돌아보며 빼놓을 수 없는 풍경이 백송이다. 가까이 다가가 수피의 결을 확인해 보자. 어느 각도에서 보나 흰빛이 또렷하다. 춘당지 반대편에서도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을 만큼 새하얗다. 만연한 색채 속에서 혼자 한겨울을 미리 지나는 듯 담담하다. 수령이 100년을 훌쩍 넘었다고 하며 중국을 오가는 사신 덕에 원산지인 중국을 떠나 이곳에서 자랐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창경궁 춘당지 동편의 백송
ⓒ 박배민
춘당지를 두어 바퀴 둘러 보았으니, 더 깊은 북쪽으로 발걸음을 가보자. 대춘당지와 소춘당지 사이에는 두 연못을 잇는 작은 다리가 하나 있다. 짧은 다리를 건너며 담장 너머 창덕궁과 한때 이어져 있던 두 궁의 사연이 떠오른다. 본래 '춘당지'라 불렸던 곳은 작은 연못, 소춘당지였다.
▲ 유리 온실 쪽에서 내려다 본 소춘당지.
ⓒ 박배민
현재의 대춘당지는 본래 임금이 농사의 소중함을 잊지 않기 위해 설치한 궁궐 내 시범 논, 권농장 자리였고, 창덕궁의 춘당대·영화당 일대와 함께 하나의 권역으로 쓰였다. 일제강점기에 양 궁을 완전히 구분하는 담장이 생기면서 춘당대와 춘당지는 서로 갈라졌다고, 국가유산청은 추정한다. 이후 복원 과정을 거치면서도 경계는 남았지만, 오늘날에는 시민의 소중한 산책로가 되었다.
▲ 동궐도로 보는 옛 창경궁과 창덕궁의 관계
ⓒ 동궐도 고려대 본 편집
유리 대온실에서 바닥을 봐야하는 이유
다리를 건너 몇 걸음만 나아가면 목재와 기와가 주인이던 풍경에 유리가 끼어든다. 햇빛을 받은 흰 프레임이 격자를 세우고, 넓은 유리면에는 발갛고 노랗게 물든 잎들이 담긴다. 목재·기와의 질감 사이로 유리와 철의 선이 더해지니 창경궁의 얼굴이 한층 다채로워진다. 저 투명한 골격의 건물이 대온실이다.
▲ 대온실 정원을 둘러 보는 외국인 관광객
ⓒ 박배민
온실 앞에는 프랑스식 정원이 단정하게 펼쳐져 있다. 낮게 다듬은 관목이 기하학 무늬로 화단의 테두리를 만들고, 가운데 분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룬다. 사각과 마름모가 반복되는 파르테르(parterre) 양식이 보인다. 유리 온실의 직선과 정원의 패턴이 겹치며 사진 프레임이 정리되고 사람들은 그 선을 따라 사진을 남긴다.
온실로 들어서는 순간 공기가 달라진다. 한층 따뜻하고 짙은 식물 향이 난다. 유리 천장에서 내려온 확산광이 잎맥을 지나 바닥에 무늬를 깔고, 높낮이가 다른 식생 사이로 중앙에는 작은 수조가 놓여 있다. 금붕어의 꼬리놀림의 유려함이 예사롭지 않다. 발걸음은 자연스레 늦춰지고 몸은 초록에 가까워진다. 바깥이 추색으로 깊어지는 이때, 이 안은 봄을 연상케 한다.
온실에서 꼭 챙길 백미가 있다. 고개를 숙여 바닥 타일을 보자. 오늘날 우리에겐 흔한 타일처럼 보일지 몰라도 그 의미는 남다르다. 온실의 바닥 타일은 한때 시멘트와 정체불명의 타일로 덮여 있었으나 2017년 대온실 복원 과정에서 원형 타일이 확인되었다. 1900년대 유럽 상품 책자를 통해 영국제임이 밝혀졌고 건립 당시와 같은 방식으로 원형에 맞춰 복원해 두었다.
▲ 유리 대온실을 관람 중인 외국인
ⓒ 박배민
대온실은 궁이 관람시설로 바뀌던 아픈 시기의 산물이었지만, 지금은 보존과 상시 공개를 통해 시민과 만나는 공공 공간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이곳은 '이왕직식물원(李王職植物園)'으로 불렸고 8.15 광복 뒤에도 '창경원'이라는 유원지로 남아 식물원 기능을 이어 갔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 창경원은 한때 폐원했고 대온실도 폭격으로 일부 훼손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 민족 정신 보존 여론이 높아지며 복원 논의가 본격화되었고 1911년에 잃었던 궁의 이름을 1983년 '창경궁'으로 되찾았다.
▲ 일제강점기 시절의 유리 대온실
ⓒ 서울아카이브(공공누리 제1유형)
관덕정에서 숨 고르기
온실을 나서자 발길이 자연스레 언덕을 탄다. 대온실 뒤편의 완만한 경사를 오르면 단풍 사이에 숨어 있는 정자, 관덕정이 나타난다. 사방이 열려 바람이 드나들고 기둥 사이로 보이는 풍경은 전부 그림이 된다. 멀리 유리 지붕이 반짝이고 가까이서는 단풍이 책장을 넘기듯 흔들린다. 바람이 스치면 낙엽이 관덕정 기와 위에 얌전히 포개진다.
▲ 관덕정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관람객
ⓒ 박배민
여기서 잠시 숨을 고르자. 홍화문에서 시작해 숲길을 지나 춘당지의 물빛과 석탑의 돌빛, 대온실의 유리빛을 차례로 건넜다. 관덕정에 앉아 대온실을 오가는 사람들을 한동안 바라본다. 우리의 짧은 여정은 여기까지다.
이 글이 현장에서 길을 잡아주는 얇은 안내서가 되었으면 한다. 어디에서 잠깐 멈추고 무엇을 한 장 더 담을지, 필요한 순간마다 문단 하나씩 떠올리면 충분하다. 먼저 이 글로 창경궁을 그려보고, 현장에서 같은 길을 다시 걸으면 오늘 본 물빛과 유리빛, 단풍의 결이 더 오래 남을 것이다.
§ 창경궁 (昌慶宮)§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국가유산: 사적 창경궁 / 보물 창경궁 팔각칠층석탑 / 국가등록문화유산 창경궁 대온실§ 탐방일: 2025년 11월 11일§ 탐방 코스: 60분 ~ 90분 / 홍화문–춘당지–팔각칠층석탑–대온실–관덕정
덧붙이는 글
▲ 창경궁 춘당지의 가을
ⓒ 박배민
지난 여름 내내 생업에 매여 있었다. 문화유산을 담아야 할 내 카메라는 서랍 속에서 먼지만 쌓이고 있었다. 그때 쪽지 한 통이 왔다. 가을 단 릴게임방법 풍이 좋은 궁궐을 소개해 달라는 요청이었다. 모든 궁궐이 각자의 가을 매력을 지니고 있었기에 잠깐 고민이 되었다.
이내 마음은 창경궁으로 기울었다. 경복궁의 단정함, 창덕궁의 웅장함도 좋지만, 창경궁의 가을은 연못과 숲길, 유리 온실이 한자리에서 숨을 고르는 사람 크기의 계절이다. 이 글은 여러분과 창경궁의 가을을 만끽 릴게임 하기 위한 작은 초대다. 여정은 '홍화문–춘당지–팔각칠층석탑–대온실–관덕정'으로 이어진다. 그럼, 홍화문에서부터 천천히 걸어가 보자.
창경궁의 가을에 들어서다
바다이야기모바일
▲ 창경궁의 가을을 만끽하는 관광객
ⓒ 박배민
지난 11일, 홍화문을 지나 첫 발 바다신게임 을 들이는 순간. 공기는 한 톤 낮아지고 소리는 한 겹 얇아진다. 정면의 옥천교는 오늘 미뤄 두자. 대신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어 광덕문을 지난다. 검은 기와 아래를 통과하면 울긋불긋한 숲길이 곧바로 시작된다.
선홍과 진홍, 황금빛과 갈색이 층층이 포개진 단풍잎은 오래 입어 헤졌지만 포근한 옷처럼 느 바다이야기모바일 껴진다. 단풍이 불꽃처럼 번지고, 바닥은 갈빛 낙엽이 겹겹이 깔린다. 누군가는 삼각대를, 누군가는 폰을 든 채 같은 가지의 색을 가만히 맞춘다. 여기서는 서두를 일이 없다.
▲ 춘당지의 가을을 사진으로 남기고 있는 탐방객
ⓒ 박배민
담장을 따라 오르는 숲길이 끝나갈 즈음, 물 빛이 눈길을 붙든다. 춘당지다. 너나 없이 물 앞에 잠시 걸음을 멈춘다. 햇빛은 수면 위에서 잘게 부서져 윤슬을 만들고, 바람은 수면을 간질이며 여러 표정을 짓게 만든다.
평일임에도 나들이객이 많다. 춘당지 서편 오솔길로 접어든다. 아이 손을 잡은 가족, 삼각대를 든 사진가, 점퍼 깃을 세운 연인들이 서로의 속도를 조절하며 자연스러운 질서를 만든다. 우리도 카메라를 수면 각도에 맞추어 셔터를 눌러보자.
빼놓을 수 없는 풍경, 백송
▲ 춘당지 건너편에서 바라 본 팔각칠층석탑
ⓒ 박배민
우수수 떨어지는 잎새 사이로 회색 선 하나가 곧추선다. 팔각칠층석탑이다. 팔각 평면 위에 일곱 층 탑 몸체(탑신)를 올린 석탑으로, 높이는 약 6.5m. 탑 받침(기단)이 탑 몸체에 비해 유난히 높아 우리 석탑과는 다른 수직성이 강조된 비례감을 드러낸다. 몸돌에 1470년에 이 탑을 세웠다는 내용은 있지만, 언제 어디에서 어떤 연유로 이곳으로 옮겨 왔는지는 분명치 않다.
여기저기 닳고 깨진 흔적은 있으나 형태가 비교적 온전하고, 국내에 남은 유일한 중국 석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단풍의 원색 속에서는 존재감이 얌전해 보이지만, 가지 사이를 뚫고 들어온 햇살이 오래된 돌의 결에 닿을 때마다 미세하게 반짝인다. 석탑을 빙 둘러 한 바퀴 돌아보자. 어느 각도에서도 균형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가을을 맞아 마음이 들뜨기 쉬운 때, 균형을 잃지 않는 법을, 석탑은 알려준다.
▲ 창경궁 팔각칠층석탑과 그 너머로 보이는 춘당지
ⓒ 박배민
걷다 보니 어느새 춘당지 건너편으로 왔다. 동편을 돌아보며 빼놓을 수 없는 풍경이 백송이다. 가까이 다가가 수피의 결을 확인해 보자. 어느 각도에서 보나 흰빛이 또렷하다. 춘당지 반대편에서도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을 만큼 새하얗다. 만연한 색채 속에서 혼자 한겨울을 미리 지나는 듯 담담하다. 수령이 100년을 훌쩍 넘었다고 하며 중국을 오가는 사신 덕에 원산지인 중국을 떠나 이곳에서 자랐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창경궁 춘당지 동편의 백송
ⓒ 박배민
춘당지를 두어 바퀴 둘러 보았으니, 더 깊은 북쪽으로 발걸음을 가보자. 대춘당지와 소춘당지 사이에는 두 연못을 잇는 작은 다리가 하나 있다. 짧은 다리를 건너며 담장 너머 창덕궁과 한때 이어져 있던 두 궁의 사연이 떠오른다. 본래 '춘당지'라 불렸던 곳은 작은 연못, 소춘당지였다.
▲ 유리 온실 쪽에서 내려다 본 소춘당지.
ⓒ 박배민
현재의 대춘당지는 본래 임금이 농사의 소중함을 잊지 않기 위해 설치한 궁궐 내 시범 논, 권농장 자리였고, 창덕궁의 춘당대·영화당 일대와 함께 하나의 권역으로 쓰였다. 일제강점기에 양 궁을 완전히 구분하는 담장이 생기면서 춘당대와 춘당지는 서로 갈라졌다고, 국가유산청은 추정한다. 이후 복원 과정을 거치면서도 경계는 남았지만, 오늘날에는 시민의 소중한 산책로가 되었다.
▲ 동궐도로 보는 옛 창경궁과 창덕궁의 관계
ⓒ 동궐도 고려대 본 편집
유리 대온실에서 바닥을 봐야하는 이유
다리를 건너 몇 걸음만 나아가면 목재와 기와가 주인이던 풍경에 유리가 끼어든다. 햇빛을 받은 흰 프레임이 격자를 세우고, 넓은 유리면에는 발갛고 노랗게 물든 잎들이 담긴다. 목재·기와의 질감 사이로 유리와 철의 선이 더해지니 창경궁의 얼굴이 한층 다채로워진다. 저 투명한 골격의 건물이 대온실이다.
▲ 대온실 정원을 둘러 보는 외국인 관광객
ⓒ 박배민
온실 앞에는 프랑스식 정원이 단정하게 펼쳐져 있다. 낮게 다듬은 관목이 기하학 무늬로 화단의 테두리를 만들고, 가운데 분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룬다. 사각과 마름모가 반복되는 파르테르(parterre) 양식이 보인다. 유리 온실의 직선과 정원의 패턴이 겹치며 사진 프레임이 정리되고 사람들은 그 선을 따라 사진을 남긴다.
온실로 들어서는 순간 공기가 달라진다. 한층 따뜻하고 짙은 식물 향이 난다. 유리 천장에서 내려온 확산광이 잎맥을 지나 바닥에 무늬를 깔고, 높낮이가 다른 식생 사이로 중앙에는 작은 수조가 놓여 있다. 금붕어의 꼬리놀림의 유려함이 예사롭지 않다. 발걸음은 자연스레 늦춰지고 몸은 초록에 가까워진다. 바깥이 추색으로 깊어지는 이때, 이 안은 봄을 연상케 한다.
온실에서 꼭 챙길 백미가 있다. 고개를 숙여 바닥 타일을 보자. 오늘날 우리에겐 흔한 타일처럼 보일지 몰라도 그 의미는 남다르다. 온실의 바닥 타일은 한때 시멘트와 정체불명의 타일로 덮여 있었으나 2017년 대온실 복원 과정에서 원형 타일이 확인되었다. 1900년대 유럽 상품 책자를 통해 영국제임이 밝혀졌고 건립 당시와 같은 방식으로 원형에 맞춰 복원해 두었다.
▲ 유리 대온실을 관람 중인 외국인
ⓒ 박배민
대온실은 궁이 관람시설로 바뀌던 아픈 시기의 산물이었지만, 지금은 보존과 상시 공개를 통해 시민과 만나는 공공 공간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이곳은 '이왕직식물원(李王職植物園)'으로 불렸고 8.15 광복 뒤에도 '창경원'이라는 유원지로 남아 식물원 기능을 이어 갔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 창경원은 한때 폐원했고 대온실도 폭격으로 일부 훼손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 민족 정신 보존 여론이 높아지며 복원 논의가 본격화되었고 1911년에 잃었던 궁의 이름을 1983년 '창경궁'으로 되찾았다.
▲ 일제강점기 시절의 유리 대온실
ⓒ 서울아카이브(공공누리 제1유형)
관덕정에서 숨 고르기
온실을 나서자 발길이 자연스레 언덕을 탄다. 대온실 뒤편의 완만한 경사를 오르면 단풍 사이에 숨어 있는 정자, 관덕정이 나타난다. 사방이 열려 바람이 드나들고 기둥 사이로 보이는 풍경은 전부 그림이 된다. 멀리 유리 지붕이 반짝이고 가까이서는 단풍이 책장을 넘기듯 흔들린다. 바람이 스치면 낙엽이 관덕정 기와 위에 얌전히 포개진다.
▲ 관덕정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관람객
ⓒ 박배민
여기서 잠시 숨을 고르자. 홍화문에서 시작해 숲길을 지나 춘당지의 물빛과 석탑의 돌빛, 대온실의 유리빛을 차례로 건넜다. 관덕정에 앉아 대온실을 오가는 사람들을 한동안 바라본다. 우리의 짧은 여정은 여기까지다.
이 글이 현장에서 길을 잡아주는 얇은 안내서가 되었으면 한다. 어디에서 잠깐 멈추고 무엇을 한 장 더 담을지, 필요한 순간마다 문단 하나씩 떠올리면 충분하다. 먼저 이 글로 창경궁을 그려보고, 현장에서 같은 길을 다시 걸으면 오늘 본 물빛과 유리빛, 단풍의 결이 더 오래 남을 것이다.
§ 창경궁 (昌慶宮)§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국가유산: 사적 창경궁 / 보물 창경궁 팔각칠층석탑 / 국가등록문화유산 창경궁 대온실§ 탐방일: 2025년 11월 11일§ 탐방 코스: 60분 ~ 90분 / 홍화문–춘당지–팔각칠층석탑–대온실–관덕정
덧붙이는 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