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검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가주랑남 작성일25-10-08 08:35 조회35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74.yadongkorea.help 14회 연결
-
http://21.kissjav.blog 15회 연결
본문
그래픽=비즈워치
[주간유통]은 한주간 유통·식음료 업계에서 있었던 주요 이슈들을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 드리는 콘텐츠입니다. 뉴스 뒤에 숨겨져 있는 또 다른 사건들과 미처 기사로 풀어내지 못했던 다양한 이야기들을 여러분께 들려드릴 예정입니다.[편집자]
'일맥' 천하
10월로 접어들면서 제법 찬 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퇴근 후 당연하다시피 했더 차가운 캔맥주 한 잔도 어쩐지 손이 쉽게 가지 않는 걸 보니, 여름이 끝나긴 했나 봅니다. 맥주 제조사들도 이제 슬슬 올해의 성과가 가시화될 시점입니다. 성수기 끝물인 9월이 지났으니 이제 연말 준비를 하기 시작해야죠.
와이엔텍 주식
수입맥주 시장 역시 어느 정도 성패가 드러났습니다. 연초부터 독주해 왔던 일본 맥주가 3년 연속 수입맥주 1위를 사실상 확정지었습니다. 노 재팬 운동으로 매출이 급감하기 직전인 2018년 일본 맥주 수입량은 8만6676톤이었습니다. 이 해 8월까지의 수입량은 5만8497톤이었는데 올해엔 7%가량이 늘어난 6만2601톤입니다. 일본 맥주 수입량이 8월에처음주식하는방법
6만톤을 넘어선 건 올해가 처음입니다.
이 추세대로라면 지난해의 8만4000톤을 넘어 2018년 기록했던 역대 최대 수입량인 8만6676톤을 훌쩍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위 미국 맥주와의 격차는 거의 3배입니다. 지난 2023년 1위로 복귀한 뒤 3년 연속 수입맥주 1위를 지키는 셈입니다. 일본 맥주는 이제 노 재팬 운동의 온라인야마토릴게임
타격을 모두 회복한 것은 물론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2025년 수입 맥주 상위 5개 국가 맥주 수입액 및 수입량 추이/그래픽=비즈워치
올해 일본 맥주 붐은 1위 탈환에 성공한 2023년, 202동양우 주식
4년과도 다른 분위기입니다. 당시 일본 맥주를 이끈 건 '풀 오픈탭 캔맥주'로 시장 트렌드를 바꾼 '아사히'였는데요. 아사히는 지난해 전체 맥주 시장 점유율에서도 4.9%를 기록, 카스와 테라에 이은 3위를 차지했죠. 아사히가 전체 일본 맥주의 인기를 견인한 겁니다.
반면 올해 일본 맥주 인기의 특징은 여러 브랜드가 동시에 떠오르고 있다는알라딘릴
점입니다. 아사히는 물론 '기린', '삿포로', '산토리' 등이 모두 활발하게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죠. 업계에 따르면 기린 맥주는 올해 하이네켄을 제치고 아사히, '버드와이저'에 이어 수입맥주 3위 브랜드로 올라섰다고 합니다. 삿포로 역시 올해 '톱10' 진입에 성공했고요.
지난 6월 출시된 '삿포로 70'은 올해 일본 맥주의 인기를 보여주는 지표 제품 중 하나입니다. 지난해 두 차례 한정 출시 당시 인기를 끌며 올해 국내에 정식으로 소개됐는데, 당질과 퓨린 함량을 70% 줄인 게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에게 통했습니다. 올해 정식 출시 후에도 두 달여 만에 모든 물량이 완판되며 품귀 현상을 빚었습니다.
수입 맥주 상위 5국가 국내 수입량 추이/그래픽=비즈워치
1위가 확정이라면 대체로 2위 자리를 놓고 '혈전'이 벌어집니다. 지난해까지 2년 연속 2위를 지켰던 하이네켄이 힘을 잃은 대신 미국산 맥주가 치고올라오며 3파전 양상이 됐죠. 미국 맥주는 꾸준히 국내 수입량 5위권을 지켜왔지만 2위에 오른 적은 한 번도 없는데요. 올해엔 버드와이저의 선전과 함께 미국 판매 1위 맥주 모델로의 한국 상륙이 힘을 보태며 8월까지 수입량이 2만2000톤을 돌파, 2위가 가시권입니다.
2022년에 1위를 차지했던 중국 맥주는 2023년 10월 칭따오 맥주의 '오줌 맥주' 논란 이후 수입량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022년까지 매년 4만~5만톤을 웃돌았던 중국 맥주 수입량은 논란 이후인 지난해 2만2348톤으로 반토막났는데요. 올해에도 8월까지 1만6000톤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수입액으로 비교하면 미국 맥주와의 격차가 더 벌어집니다. 8월까지 미국 맥주 수입액이 2246만달러인 데 비해 중국 맥주는 1318만달러에 불과합니다. 600㎖가 넘는 대용량 병맥주가 주력인 영향이 있겠죠.
K맥주 시대는 올까
연 20만톤 이상의 맥주가 수입되는 데 비해 우리나라의 맥주 수출 규모는 아직 초라합니다. 수출량은 수입량의 절반이 채 되지 않는 10만톤 수준, 금액으로는 700만달러 안팎입니다. 이에 따라 맥주 무역수지는 연 1억2000만달러 이상 적자가 나고 있습니다. 그나마 올해에는 8월까지 7만4219톤을 수출해 지난해보다 7.8% 늘어난 게 위안거리입니다.
국내 맥주 수출의 절반은 홍콩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홍콩에서 웬 한국 맥주?'라는 생각이 들지만 지난해 전체 맥주 수출량 10만3164톤 중 44.9%인 4만6367톤이 홍콩향(向) 수출이었습니다. 사실 이건 오비맥주가 OEM으로 수출하는 '블루 걸' 덕분입니다. 블루 걸은 '산미구엘'과 함께 홍콩 내 맥주 시장 점유율 1, 2위를 다투는 인기 브랜드인데요. 제조를 오비맥주에서 맡는 만큼 '수출 맥주'로 잡힙니다.
홍콩을 뺀 다음 차례도 사실 의외입니다. 일본이나 중국이 나올 줄 알았는데, 몽골이 튀어나옵니다. 몽골의 경우 K맥주가 '맥주 시장'을 만든 우수 사례입니다. 오비맥주는 지난 1999년 카스를 내세워 몽골 시장에 진출했는데, 당시 몽골은 맥주 자체가 없던 나라였죠. 카스가 인기를 얻으면서 몽골 로컬 맥주 브랜드가 생겼고 다른 수입 브랜드들도 몽골에 진출, 맥주가 친숙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롯데칠성과 하이트진로도 몽골 시장에 진출하며 K맥주 전쟁을 벌이고 있죠.
그래픽=비즈워치
업계에서는 다양한 한국 식문화가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국산 맥주도 K푸드와 함께 페어링되는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마라탕이나 양꼬치에는 칭따오를, 이자카야에서는 아사히를 마시는 등 그 국가의 음식을 먹을 땐 같은 국가의 맥주를 마시는 문화가 있으니, 해외에서도 매운 떡볶이나 닭갈비, 삼겹살을 먹을 때 카스나 테라를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지 말라는 법은 없겠죠.
사실 K푸드가 뜨기 전 전문가들은 '한식의 세계화'가 어려운 이유로 맵고 자극적인 양념, 떡의 질감 등을 주로 꼽았습니다. 직접 고기를 굽는 한국식 바비큐 방식이 낯설단 말도 있었죠. 지금은 어떤가요? 한식의 세계화가 어려웠던 이유들이 K푸드의 매력으로 탈바꿈했습니다. 누가 아나요. K맥주 역시 그렇게 될 수도 있습니다.
국산 맥주는 수입 맥주에 비해 맛이 없다는 건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진리처럼 여겨지는 말인데요. 막상 K푸드를 먹는 해외 소비자들 중엔 '탄산이 강해서', '향이 강하지 않아서' 좋다는 의견들도 있는 걸 보면, 역시 술은 뭐랑 먹느냐가 가장 중요한 것 같기도 합니다. 한국 음식과 같이 먹을 땐, 한국 맥주가 가장 잘 어울린다는 거죠. '치맥'의 '맥'은 기네스도, 버드와이저도 아닌 카스 혹은 테라여야 마음이 놓입니다. 저만 그런 건 아닐 겁니다.
김아름 (armijjang@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간유통]은 한주간 유통·식음료 업계에서 있었던 주요 이슈들을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 드리는 콘텐츠입니다. 뉴스 뒤에 숨겨져 있는 또 다른 사건들과 미처 기사로 풀어내지 못했던 다양한 이야기들을 여러분께 들려드릴 예정입니다.[편집자]
'일맥' 천하
10월로 접어들면서 제법 찬 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퇴근 후 당연하다시피 했더 차가운 캔맥주 한 잔도 어쩐지 손이 쉽게 가지 않는 걸 보니, 여름이 끝나긴 했나 봅니다. 맥주 제조사들도 이제 슬슬 올해의 성과가 가시화될 시점입니다. 성수기 끝물인 9월이 지났으니 이제 연말 준비를 하기 시작해야죠.
와이엔텍 주식
수입맥주 시장 역시 어느 정도 성패가 드러났습니다. 연초부터 독주해 왔던 일본 맥주가 3년 연속 수입맥주 1위를 사실상 확정지었습니다. 노 재팬 운동으로 매출이 급감하기 직전인 2018년 일본 맥주 수입량은 8만6676톤이었습니다. 이 해 8월까지의 수입량은 5만8497톤이었는데 올해엔 7%가량이 늘어난 6만2601톤입니다. 일본 맥주 수입량이 8월에처음주식하는방법
6만톤을 넘어선 건 올해가 처음입니다.
이 추세대로라면 지난해의 8만4000톤을 넘어 2018년 기록했던 역대 최대 수입량인 8만6676톤을 훌쩍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위 미국 맥주와의 격차는 거의 3배입니다. 지난 2023년 1위로 복귀한 뒤 3년 연속 수입맥주 1위를 지키는 셈입니다. 일본 맥주는 이제 노 재팬 운동의 온라인야마토릴게임
타격을 모두 회복한 것은 물론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2025년 수입 맥주 상위 5개 국가 맥주 수입액 및 수입량 추이/그래픽=비즈워치
올해 일본 맥주 붐은 1위 탈환에 성공한 2023년, 202동양우 주식
4년과도 다른 분위기입니다. 당시 일본 맥주를 이끈 건 '풀 오픈탭 캔맥주'로 시장 트렌드를 바꾼 '아사히'였는데요. 아사히는 지난해 전체 맥주 시장 점유율에서도 4.9%를 기록, 카스와 테라에 이은 3위를 차지했죠. 아사히가 전체 일본 맥주의 인기를 견인한 겁니다.
반면 올해 일본 맥주 인기의 특징은 여러 브랜드가 동시에 떠오르고 있다는알라딘릴
점입니다. 아사히는 물론 '기린', '삿포로', '산토리' 등이 모두 활발하게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죠. 업계에 따르면 기린 맥주는 올해 하이네켄을 제치고 아사히, '버드와이저'에 이어 수입맥주 3위 브랜드로 올라섰다고 합니다. 삿포로 역시 올해 '톱10' 진입에 성공했고요.
지난 6월 출시된 '삿포로 70'은 올해 일본 맥주의 인기를 보여주는 지표 제품 중 하나입니다. 지난해 두 차례 한정 출시 당시 인기를 끌며 올해 국내에 정식으로 소개됐는데, 당질과 퓨린 함량을 70% 줄인 게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에게 통했습니다. 올해 정식 출시 후에도 두 달여 만에 모든 물량이 완판되며 품귀 현상을 빚었습니다.
수입 맥주 상위 5국가 국내 수입량 추이/그래픽=비즈워치
1위가 확정이라면 대체로 2위 자리를 놓고 '혈전'이 벌어집니다. 지난해까지 2년 연속 2위를 지켰던 하이네켄이 힘을 잃은 대신 미국산 맥주가 치고올라오며 3파전 양상이 됐죠. 미국 맥주는 꾸준히 국내 수입량 5위권을 지켜왔지만 2위에 오른 적은 한 번도 없는데요. 올해엔 버드와이저의 선전과 함께 미국 판매 1위 맥주 모델로의 한국 상륙이 힘을 보태며 8월까지 수입량이 2만2000톤을 돌파, 2위가 가시권입니다.
2022년에 1위를 차지했던 중국 맥주는 2023년 10월 칭따오 맥주의 '오줌 맥주' 논란 이후 수입량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022년까지 매년 4만~5만톤을 웃돌았던 중국 맥주 수입량은 논란 이후인 지난해 2만2348톤으로 반토막났는데요. 올해에도 8월까지 1만6000톤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수입액으로 비교하면 미국 맥주와의 격차가 더 벌어집니다. 8월까지 미국 맥주 수입액이 2246만달러인 데 비해 중국 맥주는 1318만달러에 불과합니다. 600㎖가 넘는 대용량 병맥주가 주력인 영향이 있겠죠.
K맥주 시대는 올까
연 20만톤 이상의 맥주가 수입되는 데 비해 우리나라의 맥주 수출 규모는 아직 초라합니다. 수출량은 수입량의 절반이 채 되지 않는 10만톤 수준, 금액으로는 700만달러 안팎입니다. 이에 따라 맥주 무역수지는 연 1억2000만달러 이상 적자가 나고 있습니다. 그나마 올해에는 8월까지 7만4219톤을 수출해 지난해보다 7.8% 늘어난 게 위안거리입니다.
국내 맥주 수출의 절반은 홍콩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홍콩에서 웬 한국 맥주?'라는 생각이 들지만 지난해 전체 맥주 수출량 10만3164톤 중 44.9%인 4만6367톤이 홍콩향(向) 수출이었습니다. 사실 이건 오비맥주가 OEM으로 수출하는 '블루 걸' 덕분입니다. 블루 걸은 '산미구엘'과 함께 홍콩 내 맥주 시장 점유율 1, 2위를 다투는 인기 브랜드인데요. 제조를 오비맥주에서 맡는 만큼 '수출 맥주'로 잡힙니다.
홍콩을 뺀 다음 차례도 사실 의외입니다. 일본이나 중국이 나올 줄 알았는데, 몽골이 튀어나옵니다. 몽골의 경우 K맥주가 '맥주 시장'을 만든 우수 사례입니다. 오비맥주는 지난 1999년 카스를 내세워 몽골 시장에 진출했는데, 당시 몽골은 맥주 자체가 없던 나라였죠. 카스가 인기를 얻으면서 몽골 로컬 맥주 브랜드가 생겼고 다른 수입 브랜드들도 몽골에 진출, 맥주가 친숙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롯데칠성과 하이트진로도 몽골 시장에 진출하며 K맥주 전쟁을 벌이고 있죠.
그래픽=비즈워치
업계에서는 다양한 한국 식문화가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국산 맥주도 K푸드와 함께 페어링되는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마라탕이나 양꼬치에는 칭따오를, 이자카야에서는 아사히를 마시는 등 그 국가의 음식을 먹을 땐 같은 국가의 맥주를 마시는 문화가 있으니, 해외에서도 매운 떡볶이나 닭갈비, 삼겹살을 먹을 때 카스나 테라를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지 말라는 법은 없겠죠.
사실 K푸드가 뜨기 전 전문가들은 '한식의 세계화'가 어려운 이유로 맵고 자극적인 양념, 떡의 질감 등을 주로 꼽았습니다. 직접 고기를 굽는 한국식 바비큐 방식이 낯설단 말도 있었죠. 지금은 어떤가요? 한식의 세계화가 어려웠던 이유들이 K푸드의 매력으로 탈바꿈했습니다. 누가 아나요. K맥주 역시 그렇게 될 수도 있습니다.
국산 맥주는 수입 맥주에 비해 맛이 없다는 건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진리처럼 여겨지는 말인데요. 막상 K푸드를 먹는 해외 소비자들 중엔 '탄산이 강해서', '향이 강하지 않아서' 좋다는 의견들도 있는 걸 보면, 역시 술은 뭐랑 먹느냐가 가장 중요한 것 같기도 합니다. 한국 음식과 같이 먹을 땐, 한국 맥주가 가장 잘 어울린다는 거죠. '치맥'의 '맥'은 기네스도, 버드와이저도 아닌 카스 혹은 테라여야 마음이 놓입니다. 저만 그런 건 아닐 겁니다.
김아름 (armijjang@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